통풍의 증상 원인 치료 예방방법
1. 통풍의 정의
- 통풍은 혈액 내에 요산(음식을 통해 섭취되는 퓨린(purine)이라는 물질을 인체가 대사하고 남은 산물)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요산염(요산이 혈액, 체액, 관절액 내에서는 요산염의 형태 존재함) 결정이 관절의 연골, 힘줄, 주위 조직에 침착되는 질병이다.
- 이러한 현상은 관절의 염증을 유발하여 극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재발성 발작을 일으키며, 요산염 결정에 의한 통풍결절이 침착되면서 관절의 변형과 불구가 발생하게 된다.
- 관절의 이상 외에도 다양한 신장질환을 일으키고 요산에 의해 콩팥에 돌이 생기는 콩팥돌증이 나타나기도 한다.
2. 통풍의 증상
- 무증상 고요산혈증 : 혈청 요산의 농도는 증가되어 있지만 관절염 증상, 통풍 결절, 요산 콩팥돌증 등의 증상은 아직 나타나지 않은 상태이며, 고요산 혈증이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거의 평생 동안 증상이 없이 지내게 된다.
- 급성 통풍성 관절염 : 통풍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매우 고통스러운 관절염의 급성 발작이다. 첫 번째 발작은 보통 하나의 관절을 침범하며 전신 증상은 없는 편이지만, 그 후에 발생하는 발작들은 여러 관절을 침범하고 열이 동반된다. 엄지발가락이 가장 흔하게 침범되는 관절이며, 그 외에도 사지 관절 어디나 침범이 가능하다.
- 간헐기 통풍 : 간헐기 통풍은 통풍 발작 사이의 증상이 없는 기간을 말한다.
- 만성 결절성 통풍 : 통풍결절 형성과 통풍발작은 고요산 혈증의 정도와 기간에 비례하여 증가한다. 첫 발작 후 통풍결절이 관찰되기 시작할 때까지는 평균 10년 정도 걸리고, 20년 후에는 1/4의 환자에게서 결절이 나타난다.
3. 통풍의 원인
- 통풍은 나이가 많을수록, 그리고 혈중 요산 농도가 높을수록 발병할 가능성이 높아진다. 요산은 음식을 통해 섭취되는 퓨린이라는 물질을 인체가 대사하고 남은 산물로, 혈액, 체액, 관절액 내에서는 요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.
- 체중증가는 고요산 혈증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.
4. 통풍의 치료
- 무증상 고요살혈증의 치료 : 비만, 고지질혈증, 알코올 중독, 고혈압 등과 관련한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.
- 급성 통풍성 관절염의 치료 : 치료를 빨리 시작하면 빠르고 효과적으로 증상이 호전될 수 있으므로, 통풍 발작이 나타나면 즉시 약물 투여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.
- 간헐기 동안의 통풍발작의 예방 : 소량의 콜히친을 매일 복용하면 급성 통풍 발작을 매우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.
- 만성 결절성 통풍의 치료 : 항고요산혈증 약물을 이용하여 고요산 혈증을 조절하면 요산이 조직에 침착되는 것을 예방하고 혈중 요산 농도를 정상화시킬 수 있다.
5. 통풍의 예방방법
- 적절한 약물을 전문의의 지시에 따라 예방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.
- 체중 조절, 절주, 과식 자제 등은 통풍 발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.
6. 생활가이드
- 통풍환자는 정상 체중을 회복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, 절주 하는 것도 중요하다.
- 규칙적인 열량 제한을 통한 체중 감량이 필수적이다.
- 장기간 술을 마시는 것 역시 통풍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절주해야 한다.
출처 : 서울대학교병원
편집 : 블로그주인
'운동 및 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통풍에 대한 특징 및 통풍 보장 관련 보험 정보 (0) | 2023.01.15 |
---|---|
크론병에 대한 모든 것 (증상 · 진단 · 치료) (0) | 2023.01.12 |
갑상선암의 정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법 (0) | 2020.11.22 |
백내장 원인 증상 종류 위험요인 치료 예방방법 (0) | 2020.11.15 |
당뇨병과 망막증 과의 상관관계 (0) | 2020.11.13 |
댓글